728x90
반응형
1. 포맷코드
A. 숫자,문자열 직접 대입: ‘I ate {0} apples. So I was sick for {1} days’.format(10, 3)
B. 인덱스, 이름을 혼용하여 대입: : ‘I ate {0} apples. So I was sick for {day} days’.format(10, day=3)
C. f-formating : 코드 앞에 f를 입력하여 작성 단, ver.3.0이상에서 구동 가능
ex) f'나의 이름은 {name} 입니다. 나이는 {age} 입니다.'
기능 | 코드 | 기능 | 코드 |
오른쪽 정렬 | “{0:>10}”.format(a) | 공백 채우기 | “{0:=^10}”.format(a) |
가운데 정렬 | “{0:^10}”.format(a) | { 또는 } 표현 | {{ 또는 }} |
왼쪽 정렬 | “{0:<10}”.format(a) | 소수 표현 | ‘{0:0.4f}’.format(a) |
D. 포맷팅 구성 : {[인덱스/값]:[공백을 채울 문자][정렬방식][자리수]}
2. 문자열 함수
A. 함수란: 입력 값을 주면, 특정한 출력 값을 주는 것
B. 함수
함수 | 기능 | 함수 | 기능 |
Count | 개수 카운팅 | strip | 양쪽 공백 없애기 |
Find | 원하는 문자열 찾기 | lstrip | 왼쪽 공백 없애기 |
Index | 인덱스 값 찾기 (값이 없으면 에러 발생) |
rstrip | 오른쪽 공백 없애기 |
join | 문자열 끼워넣기 | split() | 공백기준으로 나눈다 |
upper | 대문자 전환 | split(‘:’) | ‘:’기준으로 나눈다. |
lower | 소문자 전환 | replace(a,b) | a를 b로 대체하여 출력 |
3. 리스트
A. A = [1, 2, 3, 4, 5]
B. b = [‘life’, ‘is’, 1, 2] #문자와 숫자 혼합 사용 가능#
C. c = [1, 2, [‘Life’, ‘is’]] #리스트 안에 리스트 작성 가능 (2차원) #
D. d = [1, 2, [‘Life’, ‘is’,[good]]] #리스트 안에 리스트 작성 가능 (3차원) #
*d 리스트 속 [good] 리스트를 찾는 법 → d[2][2][0]
728x90
반응형
'BIG DATA STUDY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배우기 #7 (1) | 2022.01.14 |
---|---|
파이썬 배우기 #5 If , While, For , 함수 (1) | 2022.01.12 |
파이썬 배우기 #4 Dictionary, Bool (2) | 2022.01.11 |
파이썬 배우기 #3 List, Tuple (1) | 2022.01.11 |
파이썬 배우기 #1 기본용어 문자열, 숫자형 (0) | 2022.01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