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tuple 2 #01/11
- 팩킹
- cell = ('Apple', 'samsung', '샤오미', '화웨이', '레노버')
- a, s, x, h, i =cell ('Apple', 'samsung', '샤오미', '화웨이', '레노버') #a, s, x, h, i 에 각 값을 입력한다#
Dictionary
# 형식 `{key:value, key:value....}`
- ex) `dic= {'name':'이름', 'age': '30', 'phone': '010-2222-3333', 'birth': '19990101'}`
# 딕셔너리 추가
- `dic4= {1:'A'}``{1: 'A', 2: 'b'}` #딕셔너리에 2: 'b'가 추가된다#
- `dic4[2] = 'b'`
- `dic4[3] = [1,2,3]`
- `{1: 'A', 2: 'b', 3: [1, 2, 3]}` #딕셔너리 3에 리스트가 추가 된다#
# 딕셔너리 삭제
- `del dic4[2]` #key:2 를 삭제#
# 딕셔너리 key & values & items
- `딕셔너리이름.keys()` #딕셔너리의 key들을 나열한다
- `딕셔너리이름.keys(0)` #딕셔너리의 0번째 key를 나타낸다
- `딕셔너리이름.values()` #딕셔너리의 value들을 나열한다
- `딕셔너리이름.values(0)` #딕셔너리의 0번쨰 value를 나타낸다.
- `딕셔너리이름.items()` #key와 value를 함께 나타낸다.
- *`딕셔너리이름.clear()` #딕셔너리 내용 삭제*
#예시 - Key에 의해 순서가 결정 된다.
`price={'돌체라떼':5600, '화이트초콜릿모카':5600, '카페모카': 5100}`
`price`
{'돌체라떼': 5600, '카페모카': 5100, '화이트초콜릿모카': 5600}
`price['카페라떼'] = 4600`
`price['아메리카노'] = 4100`
`price`
{'돌체라떼': 5600, '아메리카노': 4100, '카페라떼': 4600, '카페모카': 5100, '화이트초콜릿모카': 5600}
# 예시 - 딕셔너리 속 딕셔너리?
`price_size = {'스타벅스 돌체라떼 ':{'톨':5600,'그란데':6100,'벤티':6600}, '화이트초콜릿모카':{'톨':5600,'그란데':6100,'벤티':6600}, '카페모카':{'톨':4100,'그란데':4600,'벤티':6100}}`
# 메뉴명을 리스트로 가져오기
`list(list_Price.keys())`
['스타벅스 돌체라떼 ', '화이트초콜릿모카', '카페모카', '카페 라떼', '카페 아메리카노']
집합
# 집합만들기
- `set1 = set([1,2,3])`
- `set3 = set('hello')` → {'h','e','l','o'} #중복이 삭제된다!!
Bool
- bool이란 True 또는 False 로 나타나는 것
- ex) `a=True` , `b=False`
- `= ` assignment를 의미
- `==` equal을 의미
- `id(변수)` 변수의 메모리 주소 확인
예제) `a=3` `b=5`일때 a와b의 값을 바꾸는 방법은?
- py가 아닌 다른 언어 #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값을 옮긴다#`a=b`
- `b=tmp`
- `tmp =a`
- python에서는 보다 쉽게 바꿀 수 있다. `a, b = b, a`
728x90
반응형
'BIG DATA STUDY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배우기 #7 (1) | 2022.01.14 |
---|---|
파이썬 배우기 #5 If , While, For , 함수 (1) | 2022.01.12 |
파이썬 배우기 #3 List, Tuple (1) | 2022.01.11 |
파이썬 배우기 #2 포맷코드, 문자열, 리스트 (0) | 2022.01.11 |
파이썬 배우기 #1 기본용어 문자열, 숫자형 (0) | 2022.01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