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BIG DATA STUDY/GitHub

git ignore & branch

by StrongRiver 2022. 1. 11.
728x90
반응형

git ignore

https://www.toptal.com/developers/gitignore

pull, clone

  • 가정
    • 이미 레포지토리에 커밋이 올라가 있다.
    • pull, push하는 권한이 있다.
  • clone
    • 빈 폴더( 상위 폴더에 깃이 없어야 함)에 clone을 합니다
      • `git clone {url}` -> 새로운 폴더를 만들면서
      • `git clone {url} .` -> 현재 폴더에 그대로
  • do something and push commit
    • 원격 저장소가 원본 로컬 저장소보다 상위 버전이 됨.
  • pull
    • 원본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의 코밋을 pull 함
      • `git pull`

branch

  • `git branch` branch 리스트 확인
  • `git branch <name>` name이라는 리스트 생성
  • `git switch <name>` name이라는 branch로 이동
  • `git checkout` 브랜치 이동
  • `git log --all --oneline --graph` 그래프 형태로 branch들을 나타냄
  • `git merge <branch명>` 해당branch를 합친다. (기준이 될 브랜치에서! 합칠 브랜치 명을 작성)
  • `git branch -d <name>` name이라는 branch를 삭제한다.
  • `git switch -c <name>` name이라는 branch를 생성하면서 해당 branch로 변경

수정하는 방법

  • `git restore <파일명>`
    • 파일 수정 후 아직 add하지 않았을때, 이전 상태로 변경
  • `git restore --staged`
    • 스테이징 에이아에서 내려준다.
  • `git rm -cached`
    • untracked 상태로 바꿔준다.
  • `commit --amend`
    • 파일 수정이 없으면 코밋 메시지만 재작성 해주고
    • 파일 수정이 있으면 그것을 반영하여 코밋을 덮어씌운다.
  • `git diff`
    • 워킹디렉토리와 가장 최근 기록(스테이징 에리아 혹은 코밋의)의 차이를 보여준다.
  • `git diff --staged`
    • 스테이징 에리아와 코밋의 차이를 보여준다.

reset

  • `git reset --soft <commit log>` commit만 하면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.
  • `git reset --mixed <commit log>` add, commit까지하면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.
  • `git reset --hard <commit log>` 진짜 리셋 (작업+add+commit 까지 해야 돌아올 수 있다.)
  • `git reflog` 코밋 리셋 기록 확인
  • `git revert <commit id> ` 해당 코밋을 취소하고 코밋를 남긴다.
728x90
반응형

'BIG DATA STUDY >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ow to Connect Github(깃헙 연결하기)  (0) 2022.01.11

댓글